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 목재의 선택 목재 공급업체는 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 목작업이나 가구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목재는 일정한 규격으로 나누거나 가공한 상품, 즉 규격에 맞는 크기로 자르고 표면을 대패질한 상태로 판매된다. 대개 하나 이상의 면이 다듬질된다. 실제로 이 목재를 사용할 때는 대패로 목재의 각 면을 최소한 3mm 정도 깎아내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할 목재의 크기는 공급업체에서 구입한 상태보다 약간 작아진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반면 길이는 언제나 일정하다. 대부분의 경재는 너비와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판재 형태로 판매되지만 마호가니, 티크, 오크, 라민 등의 일부 목재는 일정한 치수로 제작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이처럼 일정한 치수의 목재를 판매할 때는 피트 또는 300mm 단위가 사용.. 2023. 2. 17. 목재 건조 막 잘라낸 목재에는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목재의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며, 자유수(Free Water)가 세포 구멍에 붙잡혀 있다. 목재를 건조한다는 것은 이러한 자유수와 세포벽에 결합되어 있는 많은 양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건조가 진행될수록 세포 구멍에 있던 자유수는 모두 제거되고, 세포벽에만 수분이 약간 남아 있게 되는데, 이 때를 섬유포화점이라 한다. 이 섬유포화점에 이르면 목재들은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수분 함유량이 대략 30%에 이르게 된다. 세포벽에서 수분이 더 빠져나가서 수분 함유량이 이보다 더 낮아지면 수축되기 시작한다. 수분 함유량이 주변의 상대 습도와 평형을 이루게 되면 더는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데, 이때를 평형 수분 함유량(EMC)이라고 .. 2023. 2. 17. 목재 가공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나무가 자라려면 수십 년이 걸리며, 어떤 종의 나무는 수백 년이 걸리기도 한다. 하지만 현대의 산림가공 공정에서는 소나무처럼 곧게 자라는 나무를 잘라서 가지를 쳐내고 껍질까지 벗기는데 한 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칩엽수는 상대적으로 빨리 자라기 때문에 제대로 관리하고 보호한다면 침엽수의 공급과 수요를 관리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전 세계적으로 숲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성장 속도가 느린 활엽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더구나 대부분이 전문 공급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외국산 목재 재고량도 얼마 되지 않는다. 가공방법 대부분의 산업용 목재는 나무의 줄기에서 얻어진다. 몇몇 큰 가지에서 통나무를 얻기도 하지만 이러한 목재는 성장륜이 비대칭적으.. 2023. 2. 17. 목재의 종류 변재와 심재 변재는 심재보다 더 밝은 색을 띠기 때문에 보통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밝은 색을 띠는 목재, 특히 연재에서는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변재는 심재보다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구 제작자들은 보통 잘라내서 버린다. 변재는 또 곰팡이에 의한 부패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일부 세포에는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벌레의 공격을 받기도 쉽다. 변재의 세포는 벽이 상대적으로 얇고 다공질로 되어 있어 수분이 쉽게 빠져 나가지 때문에 심재보다 더 많은 수축이 일어난다. 하지만 염료나 방부제는 변재에 더 잘 흡수된다. 심재는 성장하는 나무의 안쪽 부분이고 오래된 변재가 변해 생성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나무의 성장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따라서 죽은 세포는 유기물질로 막히게 되며, .. 2023. 2. 17.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