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 인공 판재 인공 판재는 비교적 근래에 개발된 재료로, 산업용과 일반용으로 매우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계속해서 품질이 더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가공하기 쉬운 제품을 내놓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오늘날에는 매우 다양한 판재가 시판되고 있다. 인공 판재는 대략 라미네이트 보드, 파티클 보드, 파이버 보드의 3가지로 분류된다. 새로운 제품이 계속 개발됨에 따라 원목 조각 적층판재 등 일부 라미네이트 보드는 저가의 파티클 보드나 파이버 보드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합판 합판은 구조 무늬목, 결, 적층 등 얇은 목재 시트를 겹쳐 만든 강하고 안정적인 판재이다. 얇은 목재를 겹쳐서 두꺼운 판재로 만드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쓰였지만 합판은 19세기 중반에 들어서야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합판은 크기가 다양하고 안.. 2023. 2. 22. 무늬목 종류 경재는 원목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비경제적이고 부적합하다. 하지만 이를 무늬목으로 만들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식용 무늬목을 얻을 수 있다. 무늬목의 무늬는 색, 나뭇결, 조직 등 목재의 자연적인 특성뿐 아니라 나무의 어느 부위에서 만들어졌는지, 어떤 방법으로 가공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무늬목은 주로 나무 줄기에서 얻어진다. 여기에서 얻은 무늬목은 길이가 가장 길고 폭도 가장 넓다. 원목을 자르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무늬목이 만들어진다. 무늬목 이름은 크라운컷 가공한 호두나무처럼 원목을 자르는 방법에 따라 붙이거나 버 무늬목처럼 나무의 어느 부위에서 얻었느냐에 따라 붙인다. 무늬목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6mm 내외이다. 몇몇 나무에서 얻은 두꺼운 무늬목은 가구를 복구하는데 사용.. 2023. 2. 21. 무늬목을 만드는 방법 톱절단 무늬목 가공 기계가 최초로 개발된 18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사람이 직접 톱으로 자르거나 전동톱을 사용해 무늬목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무늬목은 두께가 약 3mm내외로 비교적 두껍다. 톱을 사용해 무늬목을 만들 때는 재료가 많이 버려진다. 하지만 불규칙한 무늬결이 많은 목재를 가공하거나 톱을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때는 대형 원형톱을 사용해 무늬목을 만들기도 한다. 오늘날 톱을 사용해 만드는 무늬목의 두께는 1 ~ 1.2mm 정도이다. 일반적인 작업용 띠톱이나 테이블톱을 사용해 적층용 무늬목을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시중에서 판매되는 무늬목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거나 특별한 용도에 더 잘 어울리는 무늬목을 만드는데 필요할 경우 상업용 무늬목을 만들 수도 있다. 회전절단 연재 및 일부.. 2023. 2. 20. 무늬목 원목을 아주 얇게 잘라 만든 판재로, 구조재나 장식재로 주로 사용된다. 무늬결이 아름다운 나무로 만든 무늬목은 지금까지도 고급 가구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무늬목이 원목만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무늬목이 원래 색과 나뭇결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건, 아니면 화려한 무늬를 띠도록 가공되었건 간에 가구 또는 목제품을 만드는데 아주 유용한 재료라는 덤은 누구나 다 인정할 것이다. 지금은 우수한 접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질 좋은 인공 백킹 보드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무늬목을 쓰는 것이 더 유리할 때도 있다. 자연에서 취할 수 있는 목재 자원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이들 목재로 만든 무늬목을 잘 활용하면 좀더 경제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 2023. 2. 19.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